
어느 날 갑자기 AWS 에서 결제가 되었다. 일주일 전 RDS 하나 만들 때 분명 프리티어 허용량에 맞춰 생성 했는데 이게 무슨일인가 싶어 원인을 찾아봤더니..
즉, 프리티어로 하나의 Amazon EC2용 무료 IPv4 주소를 사용할 수 있고 그 외에는 시간당 0.005USD 요금이 부과된다고 한다. 지금 내가 사용중인건 EC2가 아니라 RDS를 생성한거라 무료 사용에 해당되지 않아 요금이 부과된 것 같다. 로컬 컴퓨터에서 DataGrip 같은 툴을 사용해 DB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려 했는데, 이렇게 되면 ssh 접속 후 접근할 수 밖에 없을 것 같다.
AWS 콘솔 > RDS > 데이터베이스 > 해당 DB 인스턴스 선택 > 수정 순서대로 들어간다.
"연결" 섹션에서 아래와 같이 '퍼블릭 액세스 불가능' 을 선택한 뒤 적용하면 끝!

그럼 이제 DB에 어떻게 접근할 수 있을까?
EC2의 Public IPv4 주소를 이용해 외부에서 AWS EC2 내부 넷망으로 들어갈 수 있고, 이때 RDS가 연결되어 있다면 내부 넷망을 통해 RDS 역시 접속 가능하다
참고: https://inchan.dev/posts/202403051335/
AWS EC2는 public IPv4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기에, RDS -> EC2 를 연결하면 가능하다. 이때 주의해야 할 것은, RDS와 EC2는 동일한 가용역역 내부에 있어야 무료라는 점!
그래서 프리티어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EC2를 생성해준다.
반응형
'Study > GW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WS] 에러해결 - 인스턴스 연결성 검사 실패, 메모리 부족 (0) | 2024.06.13 |
---|---|
[AWS, Spring Boot3] EC2 배포, 서버 스크립트, Nginx 설치 (0) | 2024.06.11 |
[Spring Boot3] SSH 터널링 설정 (EC2 > RDS 데이터베이스) (0) | 2024.06.10 |
[AWS] 프리티어 EC2 생성, EC2-RDS 연결, DataGrip SSH 연결 (0) | 2024.06.05 |
[AWS] 프리티어 RDS 생성, DataGrip 연결 (0) | 2024.05.29 |